티스토리 뷰
목차
밈(Meme)은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가 1976년에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인간 사회에서 전파되는 문화적인 요소를 뜻합니다. 이 개념은 도킨스의 책 "The Selfish Gene"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도킨스는 이 개념을 "문화 유전자"라고 설명했습니다. 이후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밈은 인터넷에서 전파되는 문화적인 요소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엔 이 밈이란 단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2023.08.05 - [분류 전체보기] - 금의 역사 및 앞으로 향후 금값 전망
밈 뜻 유래 어원 용례
밈의 뜻과 유래 그리고 어원
이 용어는 리처드 도킨스의 책 "The Selfish Gene"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도킨스는 이 책에서 유전자가 생물의 진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는 이론을 제시하면서, 유전자와 유사한 개념으로 "문화 유전자"를 제안했습니다. 이 개념은 인간 사회에서 전파되는 문화적인 요소를 뜻하는데, 이러한 문화적인 요소는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변이와 선택의 과정을 거치며 진화합니다.
하지만 도킨스의 저서가 1970년대에 집필된 것과는 달리, 밈이라는 용어가 인터넷에서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부터입니다. 이때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밈은 인터넷에서 전파되는 문화적인 요소를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이미지나 동영상 등이 대표적인 밈의 예시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는 텍스트나 해시태그 등도 밈의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인터넷에서 전파되는 문화적인 요소를 뜻합니다. 이러한 밈은 대개 사람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변형되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습니다. 밈은 대개 웃음거리나 유머 등을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들은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밈은 대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반응이나 특정한 문화적인 요소에 대한 반응 등을 담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를 통해 서로의 생각이나 감정을 공유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개 웃음거리나 유머 등을 담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기분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밈은 인터넷에서 자유롭게 전파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서로의 문화적인 배경을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밈은 인터넷 문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제는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밈 용례
밈(Meme)이라는 용어는 현재 인터넷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하는 이미지나 동영상, 특정 문구나 표현 등이 모두 밈의 예시입니다. 이러한 밈들은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전파되며, 사람들이 공유하고 변형하면서 새로운 밈이 만들어집니다.
밈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하찮은 아이디어를 열심히 추진하는 직장인'을 비롯하여, '조용한 모범생' 등이 있습니다. 또한 세간에 돌아다니는 여러 이미지들이나 유행어, 유행구문 등도 밈이라고 부릅니다. 문화적인 단위가 될 수만 있다면 어떤 것이든 밈이 될 수 있는 것이죠. 이러한 밈들은 인터넷에서 유행하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변형되며, 새로운 밈이 만들어집니다. 또한, 밈은 대중문화나 정치 등의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는데, 대통령 선거나 대선 후보자들의 캠페인에서도 밈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2016년 미국 대선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Make America Great Again' 슬로건이 밈으로 유명해졌으며, 이 슬로건을 변형해 만든 다양한 밈들이 인터넷에서 전파되었습니다. 또한, 2020년 미국 대선에서는 버니 샌더스 후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밈으로 유명해졌으며, 이 사진을 변형해 만든 다양한 밈들이 인터넷에서 전파되었습니다. 따라서, 밈(Meme)은 현재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로, 소셜 미디어나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처드 도킨스의 저서들
1. 이기적 유전자 (Selfish Gene)
도킨스의 책 "The Selfish Gene"에서는 유전자가 생물의 진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는 이론을 제시합니다. 이 이론에서 유전자는 개체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개념은 "이기적 유전자(Selfish Gene)"라는 용어로 표현됩니다. 이 용어는 유전자가 생존과 번식에 있어서 개체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생물의 진화를 설명합니다.
2. 눈먼 시계공 (Blind Watchmaker)
도킨스의 책 "The Blind Watchmaker"에서는 진화론에 대한 이론을 제시합니다. 이 책에서 도킨스는 진화론을 하나의 시계와 같다고 비유하며, 이 시계가 누군가에 의해 디자인됐다면, 그 디자이너는 어떤 특별한 능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도킨스는 진화론에서는 디자이너 없이도 복잡한 생명체가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도킨스는 "블라인드 워치메이커(Blind Watchmaker)"라는 용어를 만들었습니다. 이 용어는 자연선택과 같은 메커니즘이 디자이너 없이도 복잡한 생명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